교회 안의 견고한 요새를 뚫다

Hans Urs von Balthasar의 Razing the Bastions는 1952년에 쓰여진 100쪽 안팎의 아주 짧은 책입니다만, 그 짧은 공간 안에는 그로부터 65년이 지난 지금도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소화해낼 수 있다면 엄청난 도움이 될 만한 지혜들로 가득합니다. 이 책은 교회가 현대 사회 속에서 처한 상황에 대한 묘사와 함께, 교회가 (특히 카톨릭 교회가 그 이전까지) 취해왔던 자세를 분석하고 비판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비전 선언문처럼 그려냅니다. 100쪽 정도의 작은 공간 안에서 이런 작업을 해내려고 하다보니 논리적으로 엉성(하다기보다는 채워 넣어야 할) 부분이 발견되는 것이 당연합니다만, 발타자르는 이후 자신의 15권짜리, 총 10000쪽이 넘는 미학, 드라마, 논리학 3부작에서 계속해서 이런 자신의 비전 선언문에 합당한 세밀한 작업을 해나가기 때문에 여기서 선언적으로 제시된 것들에 대해서 저는 별 문제를 삼지 않으려고 합니다.

책에 대한 요약과 세세한 평가 이전에 책 제목에 관해서 얘기를 좀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목을 번역해서 넣기가 약간 어색합니다만, 제목의 의미는 “요새를 뚫고 들어감”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요새란 세상의 요새가 아니라 교회 안의 견고한 요새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세상을 향한 것이라기보다는, 교회를 향한 것입니다. 교회가 이제까지 가지고 있던 세상을 향해서 취하던 견고한 방어 태세를 버리고 세상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 메세지인 것입니다. 세상은 교회와는 달리 (아니, 사실 교회와 마찬가지로) 아주 혼란스럽습니다. 그리고 발타자르의 이 책은 교회가 그 혼란스러움 가운데 들어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마치 예수께서 인간이 되셔서 특정한 문화 속에서, 특정한 역사적 상황 가운데 삶을 사셨듯이 말입니다.

책은 네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Departure-Descent-Endurance-Contact의 네 부분을 통해서 발타자르는 현대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합니다. Departure에서는 이 모든 것의 출발점으로서의 교리, 전통, 그리고 계시에 대한 발타자르의 관점을 제시합니다. 여기서 발타자르가 제시하는 이런 주제들에 대한 관점은 보수적이지도 않고 진보적이지도 않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편으로 발타자르는 전통을 중요시하며, 특별히 그 중에서도 교부들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반면에 그는 그런 전통들은 현대의 상황 속에서 우리가 지금 바로 이 곳에서 살아계신 삼위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 헛것이 된다고 말합니다. 그렇기에 계시가 닫혀 있다는 것이 우리가 인식적인 차원에서 계시를 모두 이해하고 있다는 뜻은 절대 아니라는 것이 발타자르의 주장입니다.

두번째로 Descent에서 발타자르는 교회가 더 이상 기독교 왕국 속에서 살고 있지 않으며, 동시에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여러가지 종교 중에 하나가 되었음을 받아들이라고 말합니다. 이 챕터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부분은 발타자르가 중세에 대해서 보여주는 부정적인 인식인데요. 그가 그리는 중세는 전형적인 기독교 왕국이며, 폐쇄적이고 기독교 중심적인 사회입니다. 발타자르는 이런 기독교 중심적인 사회는 모순적으로 기독교가 그 진리를 밝히 드러내지 못하게 만든다고 비판합니다. 이런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서 학자들 중에는 발타자르가 중세에 대해서 뭔가 잘못 알고 있다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 또한 이 부분은 발타자르가 중세에 대한 깊은 연구 없이 지나치게 대중적인 선입견 (혹은 그가 이해하고 있는 치우친 중세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세번째 챕터인 endurance에서 발타자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더 이상 독점적이고 조망적인 위치에 있지 않음을 강조하면서, 예수께서 그러셨듯이 하나의 관점으로써 취급받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더 나아가서 발타자르는 이런 진리의 역사성과 상황성이 이제껏 기독교 진리 관념이 익숙해져 있던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이상적인 이해에서 한단계 진보한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역사성과 상황성을 모두 드러내시는 분이셨기 때문이며, 발타자르가 판단하기에 절대적이고 이상적인 진리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플라톤에서 유래한 관념론적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contact에서 발타자르는 어쩌면 전형적인 카톨릭 교회론의 모본이 되는 마리아의 하나님에 대한 순종을 부각시키면서, 교회가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떻게 마리아의 모습처럼 순종하는 태도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짧은 묵상을 통해서 책을 마칩니다. 발타자르가 바라보는 마리아의 모습에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것들에 대한 전적인 받아들임과 순종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 편으로 그런 순종에는 예기치 못했던 것들에 대해서 순종한다는 측면이 담겨 있고요. 개신교 신자로서 이런 교회론은 (마리아에 대한 지나친 숭배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면에서) 정서적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그래도 인지적으로는 적어도 발타자르가 그려내는 교회론에 동의가 가능할 뿐 아니라, 그런 모습이 교회의 모습이라는데에도 적극적으로 찬동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이 가진 약점은 이미 지적한대로 중세 교회에 대한 발타자르의 편견이 아닐까 싶습니다. 중세 교회를 지나치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내면서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려고 하다보니 정확한 중세 교회의 모습을 그려내지 못했다는 지적은 비단 이 책 뿐만 아니라 발타자르 신학 전체가 가지고 있는 약점입니다. 발타자르는 대체적으로 교부들에게 아주 호의적이며, 중세 시대와 그 성인들에게 유독 박합니다. 그에 대한 평가는 제가 여기서 내릴 부분은 아니라고 보며, 그를 연구하는 후학들이 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이 책을 통해서 가장 도움을 얻었던 부분은 교리에 대한 부분이었습니다. 발타자르는 교리가 변함이 없고 절대적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깨고 변화하는 문화적 상황 속에서 교리 또한 그러한 문화적 상황에 대처하도록 요구받는다고 말합니다. 조금만 생각을 해봐도, 교리가 하나님께서 하신 일과 그 분의 인격을 그려내는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가 그 분의 무한하심과 알 수 없음 앞에서, 그리고 특별히 각 시대적, 문화적 상황마다 그 분의 인격과 일하심에 대한 강조가 달라져야 할 필요 속에서 어떻게 교리를 변하지 않는 절대적 진리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까! 이런 호소는 단순히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 절대 아닙니다. 발타자르는 교회가 변화하는 세상을 맞닥뜨려야 하는 상황 속에서 그 습관적 두려움을 깨고 용기 있게 세상 가운데로 부르시는 하나님을 만나야 한다고 말하고 있고, 교리에 대한 이해는 바로 그런 부르심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리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보니 저 개인적으로는 이런 발타자르의 교리 이해가 논문을 전개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고, 또 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책은 근본주의적인 문화관/교회관을 가지고 있지만, 그런 문화관/교회관이 가진 폐쇄성을 벗어나 좀 더 궁극적이고 적극적인 진리를 추구하고 싶으신 분들, 그리고 더 나아가 교회의 자기 성찰, 특히 카톨릭 교회가 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를 거치기까지의 자기 성찰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분들께 적극 추천합니다. 그 외 일반적인 교회-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읽으셔도 크게 도움이 될 책입니다.

교회 안의 견고한 요새를 뚫다

LIKEELL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