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 안에서 발견한 참된 자유

팀 켈러의 복음 안에서 발견한 참된 자유 (The Freedom of Self-Forgetfulness)는 아주 얇은 책입니다. 고린도 전서 3:21-4:7에서 바울이 일갈하는 복음과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의 관계, 그리고 그러한 정체성을 통해서 주어지는 자유에 대해서 아주 짧지만 강력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설교 원고를 옮겨놓은 것 같은 책이어서 읽기도 쉽고 짧은데다가, 그 내용은 굉장히 강력한 복음의 능력을 담고 있어서 효율로만 보면 짧은 시간에 최대의 독서 효과를 낼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을 정도입니다. 이미 말씀드렸듯이 켈러는 이 책에서 자기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정체성의 문제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문제이고, 켈러는 이러한 정체성의 문제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현대 문화와 그 안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각을 통해서 핵심에 접근합니다. 특히 유명 가수 마돈나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담은 인터뷰 발췌가 아주 인상적입니다.

“내 삶의 원동력은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하게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옵니다. 그게 항상 나를 끌고 나갑니다. 내가 거기에 사로잡혀서 계속 노력하다보면, 특별한 사람이 된 것을 보게 되지만, 또 다른 일을 이어나가지 않으면 나는 여전히 어중간하고 맹숭맹숭한 사람이라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비록 내가 무언가 중요한 사람이 되었다고 해도, 나는 내가 여전히 중요한 사람임을 또 다시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내 고민은 절대로 끝난 적이 없었고, 내 생각에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보그(Vogue) 매거진, 마돈나 인터뷰-

켈러는 이 인터뷰를 언급하면서 현대적 자아의 특질 네가지를 얘기합니다. 현대적 자아는 일단 비어(empty) 있습니다. 그래서 계속해서 무언가로 자기를 채워야 합니다. 마치 마돈나가 계속해서 그렇게 하듯이 말입니다. 또한 두번째로 그것은 고통을 겪습니다(painful). 우리의 자아가 고통을 겪는 이유는 자아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우리 몸에서 아픈 부분이 계속해서 우리의 주의를 끌듯이, 우리의 자아에 무언가 문제가 있기에 우리의 자아는 계속해서 남의 주의와 시선을 끌고자 하고, 그렇게 되지 못할 때 고통을 경험합니다. 마치 우리 몸의 아픈 부분이 그렇듯이 말입니다. 마돈나의 인터뷰가 보여주듯이 말입니다. 세번째, 우리의 자아는 바쁩니다(busy). 남의 주의와 시선을 받아야 하다보니 쉴틈 없이 움직여야 합니다. 그래서 마돈나는 계속해서 바쁩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비교합니다. C.S. Lewis가 말했듯이, 이기심이란 무언가를 가지는 것으로 채워지지 않고, 무언가를 내 옆에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이 가지는데서 채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렇기에 우리의 자아는 끊임없이 비교하고, 아무리 그걸 반복해도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음을 경험합니다. 네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우리의 자아는 부서지기 쉽습니다(fragile). 팀 켈러는 우리의 자아가 부서지기 쉬운 까닭을 마치 부풀어오른 무언가가 한 번에 펑 하고 터지기 쉬운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합니다. 비어 있는 우리의 자아에 우리는 이미 얘기했던대로 무언가를 계속해서 채워넣는데, 그것들이 단단하고 확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 터지거나 부서질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바울 선생이 알고 있는 복음으로 채워진 자아 정체성의 비밀

문제에 대한 진단이 있었다면 이제는 어떻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결책이 주어질 차례입니다. 켈러는 바울 선생이 가진 비밀이 무엇이었는지를 공개합니다. 바로 고린도전서 3:21-4:7입니다. 특별히 켈러가 핵심으로 삼는 구절은 4장 3,4절입니다.

너희에게나 다른 사람에게나 판단 받는 것이 내게는 매우 작은 일이라 나도 나를 판단하지 아니하노니 내가 자책할 아무 것도 깨닫지 못하나 이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하노라 다만 나를 심판하실 이는 주시니라 (고전 4:3-4)

현대적 자아의 특질은 근본적으로 자아가 비어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자아를 채워넣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며, 그렇게 채워넣어진 무언가는 “남들”과의 관계에서 더 낫게 보여야 한다는 데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그런 비교와 노력은 끝나지 않고, 비워진 곳 또한 아무리 해도 채워지지 않습니다. 이것이 켈러가 말하는 자아의 비극입니다. 여기에 대한 켈러의 응답은 자아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 더더욱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그 노력을 멈추는 것입니다. 그 악순환에서 빠져 나오는 것입니다. 하지만 거기에서 빠져나올 방법이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켈러는 바울 선생은 거기에서 빠져 나오는 길을 걷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말합니다. 켈러에 따르면 바울 선생은 남들이 자신을 평가하는 것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좋게 평가하든, 나쁘게 평가하든 “내게는 매우 작은 일이라”고 말합니다. 아울러 바울 선생은 심지어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에도 관심이 없습니다. 자신이 저지른 실수들과 잘못, 그리고 그 때문에 자신을 판단하거나 하는 것에서도 멀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한마디로 바울 선생은 남들의 자신을 향한 평가에도, 심지어 자신의 자신에 대한 평가에도 관심이 없습니다. 다만 바울 선생이 관심을 가진 분은 하나님의 평가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평가는 이미 끝이 났습니다! 이미 하나님은 나를 인정하셨다고 선언하셨고, 내가 관심을 가질 것은 오직 그것 뿐입니다. 세상의 자아 정체성을 세워가는 방식이 내 노력(performance)을 통해서 평가(verdict)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리스도인의 자아 정체성은, 이미 주어진 평가(verdict)에 기초해서, 그 평가에만 귀기울이는 가운데, 남들의 평가나 자신의 평가에 민감하기 보다는, 나를 지으시고 가장 잘 아시는 그 분이 나를 어떤 존재로 여겨주시는지에 내 자아 정체성을 세우는 것입니다. 그렇게 될 때 내 자아 정체성은 확신을 얻게 되고, 더 이상 비어 있지도, 남들의 주의를 끌지 못할 때 고통을 느끼지도, 남들의 주의를 끌고자 바쁘게 움직이지도, 또 그렇게 해서 채워진 것들이 바닥날 때 펑! 하고 터져버리지도 않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자아를 세우시는 방식입니다.

**서평은 평균 15시간 정도를 투자해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서평을 읽고 도움을 받으셨다면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후원금은 블로그 운영과 영상 제작 그리고 다양한 책들을 구입하는데 사용됩니다**

서평 쓰는 남자